萬德傳(만덕전). 銀愛傳(은애전)
萬德傳(만덕전)
정의 : 조선 후기에 채제공(蔡濟恭)이 지은 전(傳).
구성 : 제주 여인인 만덕의 선행을 기록한 작품으로 『번암집(樊巖集)』에 실려 있다. 실제인물 만덕의 의롭게 재물을 쓸 줄 아는 마음을 기리고, 또 그녀의 선행을 내외에 널리 알려 만인의 귀감으로 삼고자 지은 글이다.
내용 : 만덕은 성이 김씨로 제주 양가(良家)의 딸로 태어났다. 그러나 어려서 부모를 잃고 생계를 위한 방편으로 기안(妓案)에 이름을 올린다. 그녀는 기생의 신분이었지만 몸가짐을 단정히 하여, 스무 살이 넘자 울면서 자신의 뜻을 관에 아뢰어 양인(良人)으로 환원되었다. 만덕은 제주의 남자들이 용렬하다 하여 혼인하지 않고 지냈다. 그녀는 장사에 수완이 뛰어나 수십 년 사이에 대단한 부자가 되었다.
1795년(정조 19) 제주에 큰 기근이 들어 굶어죽는 이가 많았다. 나라에서 이들을 구휼하고자 하였으나 도저히 감당하지 못하였다. 이때에 만덕이 천금을 들여 육지에서 쌀을 사왔다. 그 쌀로 친족을 구휼하고, 관가에도 보내어 부황난 백성을 구휼하게 하였다. 그래서 제주에서는 만덕의 은덕을 칭송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제주목사가 만덕이 백성을 구휼한 일을 적어 임금께 올렸다. 임금이 기특히 여겨 칭찬하고, 만덕의 소원하는 바를 들어 시행하게 하였다. 만덕은 서울과 금강산 구경이 소원이라고 말하였다. 만덕은 제주 여자는 뭍에 오를 수 없다는 금기를 깨뜨리고 소원을 이루었다. 그녀의 소문이 장안에 널리 퍼져 사람들이 다투어 몰려들어 그녀를 만났다. 그녀는 도성과 금강산을 두루 구경한 뒤 다시 제주로 돌아갔다. 이때 그녀의 나이 58세였다.
의의와 평가 : 「만덕전」은 여자 혼자의 몸으로 남자도 하기 힘든 여러 역경을 딛고 해낸 것에 대한 찬탄과, 임금의 배려로 제주 여자가 서울과 금강산 나들이를 하게 된 보기 드문 성사(盛事 : 훌륭한 일)를 기록한 것이다. 그의 「이충백전(李忠伯傳)」 등과 같이 조선 후기 의협(義俠)을 주제로 한 여타의 전(傳)들과 궤를 같이하는 작품이다. 당시의 도탄에 빠진 민생과 각박한 세정(世情)에 대한 권계(勸戒)의 뜻을 담고 있다.
참고문헌『이조한문학사(李朝漢文學史)』(이가원, 보성문화사, 1986)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저자/제공처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aks.ac.kr
|||||||||||||||||||||||||||||||||||||||||||||||||||||
銀愛傳(은애전)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한문 전(傳).
작자의 문집 『아정유고(雅亭遺稿)』에 실려 있다. 작품을 만든 동기는 1790년(정조 14) 정조가 모든 옥안(獄案)을 심리하다가 김은애와 신여척을 살리게 하고, 이덕무로 하여금 전을 짓게 하여 내각의 『일력(日曆)』에 싣게 하였다고 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내용 : 김은애는 강진현에 살고 있는 양반집의 딸인데 한동네에 사는 퇴물기생 노파가 턱없이 은애를 모함하여 차마 견딜 수 없는 경지에 이르자 원통함이 뼈에 사무쳐 그 노파를 살해하게 된다.
그리하여 은애는 관가에 끌려가서 문초를 받는데, 두려운 빛도 없이 규중처녀로서 모함을 받은 자기의 원통함을 이야기하면서 자기가 사람을 죽인 죄는 달게 받겠다고 아뢴다. 현관은 마음으로 동정은 하나 어쩔 수가 없어 위로 보고를 한다.
그러자 임금은 정조를 지닌 여자가 음란하다는 모함을 입음은 천하에 원통한 일이라고 하면서 은애를 놓아주라고 한다. 이 작품의 후반부에는 당시에 밀 두 되 때문에 동생을 죽인 사람을 꾸짖다가 발로 채자, 노하여 배를 찼다가 사람을 죽인 신여척이 나중에 은애와 같이 방면된 사실도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 이 전은 남을 모함하고 형제간에 우애없는 것을 경계하는 뜻이 담겨 있으며,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입전된 것으로 당시의 세태와 윤리관념, 그리고 정조의 밝은 덕화를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 『이조한문소설선(李朝漢文小說選)』(이가원 교주, 교학사, 1984)
- 『한국문학통사』 3(조동일, 지식산업사, 1984)
출처 제공처 정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저자/제공처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aks.ac.
저자/제공처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aks.ac.